반응형 전체 글76 책 스토리가 스펙을 이긴다 [읽게 된 동기, 스펙을 쌓아야 하는가 , 스토리를 쌓아야 하는가, 책을 통해 배운 점] 목차 1. 읽게 된 동기 2.스펙을 쌓아야 하는가, 스토리를 쌓아야 하는가 3. 책을 통해 배운 점 1. 읽게 된 동기 책 제목을 보고 스펙을 이길 수 있는 스토리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궁금해서 이 책을 선택하게 되었다. 스펙이라는 단어는 낯설지 않았다. 고등학교 때 생활기록부에 한 줄이라도 더 기록하라는 선생님의 말씀에 여러 활동들을 했을 때도 스펙이라는 단어를 사용했고, 대학교에 진학해서도 졸업 후를 위해 가장 노력해야하는 한 부분으로써 주위에서 자주 접하는 단어였다. 그런데 이렇게 목표를 이루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한 스펙을 과연 어떤 스토리가 이길 수 있다는 걸까? 라는 생각을 가지고 책을 읽게 되었다. 2. 스펙을 쌓아야하는가 , 스토리를 쌓아야하는가 스펙과 쌓는다는 단어는 절대 떨어질 .. 2023. 3. 15. 미학개론 [미학은 학으로 가능한가? , 합리론자와 경험론자의 감각과 이성의 관계] 목차 1. 미학은 학으로 가능한가? 2. 합리론자들은 우리의 감각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감각과 이성의 관계를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가? 3. 경험론자들이 주장하는 감각과 상상력은 무엇이며, 이것들이 바움가르텐의 미학에 끼친 영향은 무엇인가? 미학은 학으로 가능한가? 감성론과 표상학이라는 학문으로 가능하다. 미학은 미를 다루는 학을 다루는학문은 아니다. 포괄적으로 감성론과 표상론을 설명할수 있다. 감성론은 감각을 통해 감각의 내용을 설명한다면 표상학은 영혼은 표상하는 능력으로 최소한의 생각으로 혼연, 판명, 어두운 표상으로 구분한다. 미학은 예술과 어떻게 다른 점은 미학은 표상을 가능하게 하는 학문으로 인식적 조건을 다루고 있다. 예술은 기술과 도구에 문제에 따라 다르지만 미학은 그것 또한 간주하고 있다.. 2023. 3. 15. 미학개론 [이반과 아Q의 정신 승리법이란? 그것이 주는 교훈이 무엇인지 미학적 관점에서 서술해 보시오.] 목차 1. 이반과 아Q의 정신승리법이 무엇인가? 2. 이반과 아Q의 정신승리법이 주는 교훈이 무엇인지 미학적 관점에서 서술해 보시오. 1.이반과 아Q의 정신승리법이 무엇인가? 이반의 경우에서는 도깨비에 대한 이반의 처신 중 정신 승리법을 찾을 수 있다. 도깨비들은 사이좋은 형제를 보고는, 사이를 갈라놓으려 한다. 여기서 도깨비들은 암술과 도술을 사용하여 두 형들을 망하게 했지만 하지만 바보 이반은 힘들었다. 이반을 맡은 도깨비들은 계속 이반에게 걸려서 아픈 것을 낳게 하는 약초, 돈과 군병을 만드는 마술을 알게 된다. 하지만 바보인 이반은 돈을 장난감으로, 군병을 음악단으로 안다. 여기서 이반은 도깨비가 자기를 괴롭히는데도 흔들리지 않고 농사를 꾸준히 짓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반은 아파도 농사를 하고 힘.. 2023. 3. 14. 미학개론 [바움가르텐이 주장하는 표상이란? , 칸트 미학에서 예술에 대한 취미 판단은 그 보편 타당성을 주장할 수 있는가?] 목차 1. 바움가르텐이 주장하는 “표상”이란 무엇인가? 표상에 대한 연구가 미학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밝히시오. 2. 칸트 미학에서 예술에 대한 취미판단은 그 보편타당성을 주장할 수 있는가? 이에 대한 칸트의 입장을 서술하시오. 1. 바움가르텐이 주장하는 “표상”이란 무엇인가? 표상에 대한 연구가 미학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밝히시오. 무엇을 보고 ~처럼 느끼는 것인 ‘표상’을 바움가르텐은 미학과 동일시해서 미를 다루는 학이라고 본다. 표상학에서 영혼(=생각하는 것)은 표상하는 능력이지만 우리는 육체가 제한되어 있어서 입장에 따라 최소한의 생각으로 혼연, 판명, 어두운 표상으로 구분한다. 따라서 영혼과 육체는 지식이라고 볼 수 있다. 우선 어두운표상과 혼연한 표상, 판명한 표상은 모두 감각적 인.. 2023. 3. 12. 이전 1 ··· 15 16 17 18 1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