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0

대학교 생활과 학문의 관계, 학문의 자유와 제도적인 자율성 목차 1. 대학교 생활과 학문의 관계 2.학문의 자유와 제도적인 자율성 3. 글을 마치며 대학교 생활과 학문의 관계 학문과 대학생활은 대학의 시작부터 끝까지 떼어낼 수 없는 관계이다. 고등학교 때는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대비해서 다 같이 틀 안에 갇혀있는 학문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이론 위주로 공부했다. 이 때문에 대학에서 추구하는 비판적인 지성을 함양하고 기르기는 어려웠다. 하지만 대학에 입학해서 학문을 직접 찾아보고 느끼고 비판하면서 학문을 대하는 태도가 달라졌다. 입학하여 과제를 하면서 직접 참고 문헌을 찾아 읽고 느끼면서 비판적인 사고를 기를 수 있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나도 몰랐던 창의적인 생각이 나오게 되고 생각하는 힘을 기를 수 있다. 학문의 자유와 제도적인 자율성 대학의 자유는 학문의 자유,.. 2023. 3. 11.
책 인생의 계절들 [읽게 된 동기, 저자 소개,책을 읽고 배운 점] 1. 읽게 된 동기 지인의 추천으로 읽게 된 책으로, 사계절에 현실을 비유해 표현 하는 것이 신선하게 다가왔다. 나는 지금 겨울인가? 여름인가? 작가의 시점에서 나는 어느 계절 안에 들어와 있는지 궁금해졌고, 내가 좋아하는 계절인 봄은 책에 어떻게 표현되어 있는지 궁금했다. 그래서 책을 읽기 시작했다. 2. 저자 소개 이 책의 저자는 스위스에서 내과 의사로 근무했던 폴 투르니에 작가이다. 스위스에서 환자와의 대화요법을 강조했다고 한다. 그래서 많은 사랑을 받는 상담자로 유명해졌고, 이 책은 그의 강연을 토대로 만들어진 책이다. 폴투르니에는 책에서 우리에게 다가 온 사계절은 모두 의미가 있으며, 현재의 다가온 계절에 열심히 임하고, 생활하는 것이 성숙하고 의미 있는 인생이라고 설명한다. 폴투르니에는 기독교.. 2023. 3. 11.
미학개론 [니체의 초인 개념을 <비극의 탄생>과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통해 설명하시오.] 목차 니체에게 미적 가치란? 니체의 초인 개념을 그의 저서인 , 을 통해 설명하시오. 니체에게 미적 가치란? 니체는 당시 시대에 대한 니체의 진단으로 신은 죽었다고 말한다. 여기서 신은 기독교의 규정된 신을 말한다. 따라서 신을 대체할 것이 필요했고 예술적 가상인 미적가치를 즐기는 것이 그 대안이다. 여기서 규정은 아폴로적인 것을 말하고 감성은 디오니소스적인 것이다. 니체는 규정(이성)만 강조해서세상이 병든 것 이라고 말했고, 디오니소스적인 그리스 비극 같은 것을 통해서 미적가치를 즐겨서 발란스를 맞추는 것이 세상을 회복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폴로적인 것은 성스러움 그 자체이며 화를 낼 때 조차 아름다운 그리스인들에게 희망 그 자체이다. 아폴론에서 신은 틀을 지어주는 사람으로서 그 뿌리에는 빛을 쫒아.. 2023. 3. 11.
미학개론 [미학은 미를 탐구하는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예술에 대한 입장 차이, 에피쿠로스 입장에서 비평하는 키스하는 경찰관, 바움가르텐이 주장하는 “표상”이란 무엇인가?] 목차 1. 미학은 미를 탐구하는 학문인가? 아닌가? 한 입장에서 이에 대한 근거를 3가지 이상 들어 서술하시오. 2.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예술”에 대한 입장 차이를 비교 서술하시오. 3. 에피쿠로스 학파가 불루 노지즈의 을 보았다고 하자. 에피쿠로스 입장에서 이 작품을 비평해 보시오. 1. 미학은 미를 탐구하는 학문인가? 아닌가? 한 입장에서 이에 대한 근거를 3가지 이상 들어 서술하시오. 미학은 미를 탐구한다. 첫 번째 이유는 무엇을 보고 ~처럼 느끼는 것인 ‘표상’을 바움가르텐은 미와 동일시해서 미를 다루는 학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표상학에서 영혼(=생각하는것)은 표상하는 능력이지만 우리는 육체가 제한되어 있어서 입장에 따라 최소한의 생각으로 혼연, 판명, 어두운 표상으로 구분한다. 두 번째 .. 2023. 3.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