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휴대폰, 컴퓨터, 인터넷으로 복권, 로또 구입하기 (동행복권 집에서 구입, 캐쉬충전 하는 방법)

by DarangS2 2025. 7. 7.

 

안녕하세요.

매주 금요일 복권 구매를 고민하다가 복권가게 앞에 쭉 늘어선 줄을 보고 포기한 채 결국 집으로 돌아간 경험, 다들 있으시죠?

오늘은 줄 서지 않고 컴퓨터나 휴대폰으로 복권 구매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이 방법은 복권 종이 잃어버릴까봐 지갑에 껴놓고 다니지 않아도 돼서 너무 좋더라고요.

그럼 이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순서대로 차근차근 따라오시면 됩니다.

 

1. 동행 복권 홈페이지에 회원가입을 해줍니다.

 

동행복권 홈페이지 바로가기

 

위의 사이트를 클릭하시면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우측 상단의 회원가입을 통해 회원가입을 진행해 주세요.

 

 

2. 로그인 후 오른쪽 상단의 충전을 클릭합니다.

 

 

3. 충전 (간편 충전) 

충전하는 방법에는 1) 간편충전 2) 고정가상계좌입금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편하신 방법으로 고르시면 됩니다.

먼저 간편 충전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 케이뱅크 계좌가 있다면? 간편충전 계좌연결 클릭 -> 연결 후 예치금 충전 -> 복권 구입

  케이뱅크 계좌가 없다면? 계좌개설 클릭 -> QR 코드를 휴대폰으로 촬영하면 케이뱅크 계좌 개설 사이트로 이동 ->

     계좌 개설 ->  간편충전 계좌연결-> 연결 후 예치금 충전 -> 복권 구입

 

간편 충전은 케이뱅크 계좌를 개설하여 계좌 연결 후 예치금(복권을 구매하는 금액)을 충전하는 방법입니다.

여기서 예치금이란 복권을 구입할 때 쓰기 위해 미리 충전해 두는 금액을 말합니다.

케이뱅크가 계좌가 없는 경우에는 가장 먼저 케이뱅크 계좌 개설을 해야 합니다.

케이뱅크 영업시간은 00시 10분~ 23:55분입니다.

충전 시 입금액을 선택하고, 간편 충전 비밀번호 입력 시 예치금으로 5분 내에 바로 충전됩니다.

 

4. 충전 (고정가상계좌 입금)

두 번째 충전방법으로 고정가상계좌입금 방법입니다.

케이뱅크를 개설하거나 케이뱅크 계좌를 연결하지 않아도 되는 방법입니다.

입금 확인 후 5분 안에 본인의 예치금으로 충전이 가능합니다.

케이뱅크계좌가 없는 경우에 이 방법이 더 편할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충전 금액은 5000원~100만 원까지 선택 후 전용 계좌번호로 입금하시면 됩니다.

위 화면은 고정가상계좌입금으로 5000원을 구매한 내역입니다.

고정 가상계좌를 통해 5000원을 입금할 경우 예치금 5000원이 충전됩니다.

매번 입금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타 은행 계좌 개설의 귀찮음과 개인정보걱정하시는 분들은 이 방법을 추천합니다.

5000원을 입금 후에는 예치금 조회내역에서 입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복권 구매

예치금 충전까지 완료했다면 이제 구매를 해야겠죠?

우측 상단에 예치금 5000원이 있는 것을 확인 후 좌측 중간에 구매하기를 클릭해 줍니다.

 

그럼 아래의 화면이 나오는데요. 여기서 구매하기를 눌러줍니다.

 

구매하기를 클릭하면 아래의 화면이 나옵니다.

혼합선택, 자동번호발급 본인이 원하시는 것을 선택하여 구매하시면 됩니다.

 

 

저는 자동번호발급,  적용수량 5개(5000원)를 선택해서 구매해 보겠습니다

아래의 화면에서 빨간색 네모를 선택 후 적용수량 확인 후 구매하기를 누르면 복권 번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매하기를 눌러보겠습니다.

구매하기를 누를 경우 아래의 검은색 칸 화면에서 번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6. 당첨 확인

 

당첨확인은 매주 토요일 오후 8시 35분 이후 마이페이지의 구매당첨내역에서 확인가능합니다.

 

 

이렇게 인터넷, 휴대폰으로 복권 구매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저는 케이뱅크 계좌도 없고, 계좌 개설 후 연결하기도 번거로워서 필요할 때마다 전용계좌에 입금하여 구매를 하는 편인데요. 

두 가지 방법 중 편한 것을 골라서 구매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럼 저희 모두 복권 당첨 되는 그날까지!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